본문 바로가기

전체 글95

외광환(外光環, Outer corona) 외광환(外光環, Outer corona) 지구의 대기권이 온도에 따라 여러 층으로 분류가 되는데, 대기권의 제일 위층에 이온 입자들로 구성된 전리층(ionosphere)이 존재합니다. 이 전리층과 직접적으로 맞닿아, 여러 가지 현상을 일으키는 태양의 대기층이 외광환입니다. 코로나 대규모 분출(CME: coronal mass ejection) 플라즈마의 분출과정을 담은 사진입니다. 이 현상을 코로나 대규모 분출이라고 하는데, 태양의 적도 부근에서만 발생하는 불송이와는 상관 없이, 태양의 위도에도 상관없이 발생하고 있습니다. 그 원인에 대해서는 분명히 밝혀져 있지 않지만, 대규모의 자기적 균형의 깨어짐이 코로나 대규모 분출의 원인이라는 것만은 확실합니다. 태양풍(太陽風, solar wind) 지금까지 태양의.. 2022. 4. 28.
자기장의 꼬임과 채층에서의 현상들 자기장의 꼬임과 채층에서의 현상들 광구에서뿐 아니라, 채층에서도 여러 가지의 다양한 현상들을 관찰할 수 있는데, 이런 현상들도 근본적으로는 자기장이 비균일한 태양의 자전에 의해 꼬이며 발생하는 현상들입니다. 흰떼(白斑] (plage 또는 chromospheric faculae) 흰점들은 광구 전체에서 일어나지만, 흑점 주변의 채층에서도 비슷한 현상이 일어납니다.하얀색의 점들로 이루어진 집단이 흑점 주변이나, 흑점과 흑점 사이에서 발생하면서, 태양판의 정면에서도 보이는 흰떼 (plage: 불어로 해변)를 형성합니다. 광구에서 발생한 강력한 자기장의 영향이 흰떼를 발생시키기 때문에, 새로운 흑점이 발생하기 전에 생성이 되곤 하지만, 흰떼가 발생한 뒤에도 흑점이 생성되지 않을 경우도 있고, 기존의 흑점에 아무.. 2022. 4. 28.
태양의 대기 채층(大氣, Chromosphere)과 내광환 (內光, Innear corona) 태양의 대기 채층(大氣, Chromosphere)과 내광환 (內光, Innear corona) 기체로 이루어진 태양에도 대기층이 존재합니다. 태양의 광구에서 직접 떨어져 나온 플라즈마 가스들과 태양의 활동에서 뿜어지거나 떨어져 나온 플라즈마 가스들이 태양의 중력과 자기장에 붙잡혀서 태양의 대기층을 형성하게 되는데, 채층과 내외광환의 두 부분으로 구분합니다. 일식 때 보는 광환은 내광환이며, 외광환은 지구의 궤도를 넘어서기도 하는데, 태양풍이 미치는 영역을 외광환으로 잡기 때문입니다. 채층(彩層, chromosphere) 광구 밖으로 약 2,000km의 두께를 채층(4,500~6,000K)이라고 합니다. 채층은 바로 밑에 있는 광구의 빛이 너무 밝기 때문에, 그리고 채층의 밀도가 광구의 밀도 보다 현저히 .. 2022. 4. 28.
불송이(flare) 및 코로나 고리(coronal loop) 불송이(flare) 때때로 태양의 표면, 흑점 부근에서 수소폭탄 1,000만 개를 동시에 폭발시킨 양의 에너지가 수천km의 길이로 방출되는 것을 볼 수 있습니다. 이 밝은 빛의 흐름이 불송이입니다. 플라즈마 가스의 대류현상이 광구의 자기장 세기를 한층 강화시키는 결과를 가져 오지만, 적도부근의 활동지역에서는 자기장 꼬임도 만만찮기 때문에, 자기장 다발이 터지는 곳이 발생하게 됩니다. 일단 자기장 다발이 터지고 나면, 터진 자기장 다발이 광구를 뚫고 채층으로 연장되면서 극성이 반대인 자기극성과 연결이 되는 자기적 재연결이 발생합니다. 자기적 재연결로 인한 자기장 에너지의 급작스러운 방출이 주변에 있는 플라즈마 가스에 전달 되면서, 불송이가 터지게 됩니다. 자기적 재연결의 에너지는 선과 X선, 그리고 고에너.. 2022. 4. 27.